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금리2

불안정한 미국 증권 시장 - 하락장에서 투자자가 지킬 원칙은? 안녕하세요! 지난 번 포스팅에서는 공포탐욕지수를 분석하고 미국 증권시장에서 나타난 조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확실히 공포탐욕지수의 지표 대부분이 '공포'를 가르키고 있고 나스닥 지수도 11월 19일 16,000을 돌파한 이후로 하락세가 이어져 12월 3일까지 6%의 하락을 보이고 있고, 장중 한때 14,000선을 내어주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악재 역시 겹겹이 쌓여있습니다. 내년으로 예정되는 금리인상, 빨라지는 테이퍼링 일정, 인플레이션 우려 및 오미크론 변이, 물류 공급망 문제 등 현재 미국 증권시장은 상당히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는데요, 이러한 악재들이 단기간에 해결될 일들은 아니기 때문에 결국 이러한 요인들이 해소되기 전까지는 주식시장은 불안한 모습일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약세장에서 과연 현명한.. 2021. 12. 5.
조정에 들어간 미국 증권시장? - 공포탐욕지수 분석 최근 미국발 인플레이션과 미국발 금리인상으로 인해 증권시장이 전반적으로 약세를 띄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시장의 반응을 알아볼 수 있는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지표가 있는데, 바로 공포탐욕지수(Fear and Greed Index)입니다. 흔히 공탐지수, 공포지수라고도 하는데요, 오늘은 이 공포탐욕지수를 바탕으로 현재 미국시장의 분위기가 어떤지 알아보겠습니다. 공포탐욕 지수는 CNN Business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총 7가지의 지표를 바탕으로 현재 주식 시장의 분위기를 0-100의 수치로 나타내고, 극단적 공포, 공포, 중립, 탐욕, 극단적 탐욕의 5개의 범주로 나타냅니다. 현재의 공탐지수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며, 구글에 Fear and Greed Index를 치셔도.. 2021. 1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