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 주식34 좋은 배당주를 고르는 방법은? - 배당성장률을 중심으로! 배당주를 찾다 보면 너무 많은 배당주, 배당 ETF 중에서 어떤 종목이 좋은 종목인지 찾기 헷갈리실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준이 배당성장률인데요, 오늘인 이 배당성장률이 어떤 것인지, 이것을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배당성장률이란? 배당성장률 (Dividend Growth)이란 기업에서 지급하는 배당금의 기간별 증액 비율을 이야기 하는데요, 일반적으로 연간 배당성장률을 이야기합니다. 예를 들어, 애플에서 2020년에는 1주당 $5의 배당금을 지급했는데 2021년부터는 1주당 $5.5의 배당금을 지급하겠다고 발표했으면, 이 경우 애플의 1년간 배당성장률은 10% 가 되는 것입니다. 그러면 이러한 배당 성장률이 왜 중요할까요? 미국 시장의 특징은 장기간.. 2022. 2. 10. 아마존(AMZN) 어닝 서프라이즈! - 주식 및 실적 발표 분석 아마존(티커 : AMZN)은 지난 2월 3일 목요일 AWS 클라우드 부문과 성장하는 광고 매출의 강력한 성장에 힘입어 주당순이익(EPS)이 무려 예상치를 668% 상회한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2021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특히 바로 전날인 2월 2일, 페이스북의 모회사인 메타의 실망스러운 실적 발표를 감안할 때 아마존의 실적 발표는 나스닥 시장 전반에 안도감을 주었는데요, 그 결과 아마존의 주가는 2월 4일 금요일 12% 상승한 3,097달러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이런 주가 랠리에도 불구하고 아마존의 주가는 현재까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아마존은 또한 2018년 이후 처음으로 아마존 프라임 멤버십 가격을 인상한다고 밝혔는데요, 이제 아마존 프라임 멤버십 가격은 기존의 월 .. 2022. 2. 5. SCHD 분석 & 장단점 : 주가상승 & 배당 모두 잡는 배당성장 ETF 오늘은 주가 상승과 배당성장이란 두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는 ETF인 SCHD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SCHD 소개 주가 분석 배당 분석 장단점 정리 종합 1. SCHD 소개 SCHD의 정식 명칭은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로, Charles Schwab 자산 운용사에서 운용하는 배당성장 ETF입니다. 출시일 : 2011년 10월 20일 시가총액 : 약 320억 달러 (2022년 2월 5일 기준) 운용보수 : 0.06% 보유 종목 개수 : 105개 주가 : $78.54 (2022년 2월 5일 기준) 운용사에서 밝히고 있는 운용 목적은 다우존스 미국 배당 100 지수 (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의 실적을 추종하는 것입니다. 주.. 2022. 2. 5. [미국 ETF] 나스닥 3배 추종 ETF - TQQQ 주가 분석 & 장단점 오늘은 나스닥의 3배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인 TQQQ의 주가와 장단점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ETF, 상장지수펀드란 무엇인가? ETF투자의 장점은? 안녕하세요 :) 주식 투자를 하시다 보면 ETF, 혹은 상장 지수 펀드라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 상장 지수 펀드란 무엇인지, 여기에 투자하는게 어떠한 장점이 있는지를 오늘 포스팅에서 알아보겠습 1999lhm.tistory.com 목차 나스닥 VS 나스닥 100 TQQQ란? - 종목 구성 & 주가 흐름 장단점은? - 종합 분석 1. 나스닥 VS 나스닥 100 TQQQ는 나스닥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것이 아닌, 나스닥 100 지수 (NASDAQ 100 Index)를 추종하는데요, 그 차이점을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나스닥은 1971년에 설립된 미국의 주.. 2022. 2. 1. 배당락일 (Ex-dividend date)이란?? - [dividend.com] 미국 배당주나 배당 ETF에 투자하시는 분들은 간혹 Ex-date, 혹은 Ex-dividend date라는 말을 보신 적이 있으실 것입니다. 한국어로는 배당락일이라고 하는데요, 오늘은 배당락일이 무엇인지, 배당락일을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dividend.com을 이용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우선 배당락일 (Ex-dividend date)는 해당 일 이후에는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없어지는 날을 의미합니다. 간단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분기별로 3,6,9,12월에 배당을 주는 A라는 주식이 있고 이 주식의 배당락일이 2022년 2월 9일 이라고 하겠습니다. 2가지 경우를 나누어 보겠습니다. 1. 2022년 2월 9일 이전에 A주식을 매수하는 경우 : 배당락일 이전에 주식을 매수했으므로 3월에 지급되는 배당을 .. 2022. 1. 31. 이전 1 2 3 4 5 6 7 다음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