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

올해 해외주식 세금은 얼마나 내야? - 가상화폐 & 해외주식 소득세

by 유진리 2021. 12. 3.
반응형
 
최근 주식이나 코인으로 재태크를 하시는 분들을 많이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항상 수익이 난다 해서 그 돈이 전부 제께 되는것은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세금을 때고 난 후에야 순이익이 되는데요, 오늘은 가상화폐와 해외주식을 할때 내야하는 세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haron-mccutcheon-8lnbXtxFGZw-unsplash

 

1.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일반적으로 해외 주식을 거래할 때는 국내 주식과 달리 매매차익에 양도소득세가 부과되는데요, 매년 1월1일에서 12월31일 사이에 매도한 내역은 다음해 신고기간내(5월 1~31일)에 양도소득세를 신고 및 납부해야 합니다. 양도소득세를 계산 하는 공식은 [소득액 - 250만원(기본 공제액)] X 22%입니다. 여기서 22%는 양도소득세 20% + 지방소득세 2%입니다.

 

소득액은 주식을 매도해서 얻은 이득인데, 이 금액이 250만원 미만일 경우에는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지만, 250만원 이상일 경우에는 그 금액에서 250만원을 뺀 액수의 22%가 세금으로 부과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보면, 테슬라로 1년간 1250만원의 수익을 올린 사람이 내야 할 양도소득세는 1250-250만원인 1000만원의 22%인 220만원이 되는 것입니다. 
 

2. 해외주식 배당소득세


 
미국 주식에 투자하시면 배당금을 받을 경우가 많을수도 있는데요, 이러한 배당금에 붙는 배당소득세의 경우 원천징수되며 각 나라에 따라 다른 세율이 부과됩니다. 미국의 경우, 15%의 세율이 원천징수되어 배당으로 지급됩니다 (중국 10%, 홍콩 0%, 일본 15.315%).

 

예를 들면, 배당율이 10%인 월 배당 미국 리츠주에 1억을 투자했으면 1개월당 받는 배당금은 1000만원의 1/12인 83만원이 아닌, 83만원에서 15%의 배당소득세를 부과한 70만원이 되는 것입니다.
 
 
BIT1

 

3. 가상화폐 소득세


 
예정대로라면 한달 뒤인 내년 1월부터 비트코인 등의 가상화폐 거래소득이 연간 250만원 이상일 경우 소득세가 부과될 예정이었습니다. 그러나 가상화폐 투자자 및 정치권에서 나오는 반발로, 과세 시점이 2023년 1월로 연기되었습니다. 

 

소득세 계산법은 기본공제액인 연 250만원을 초과하는 이익에 대해 [총 수익 - 250만원]의 20%에 해당하는 소득세가 부과될 예정입니다. 예를들어 비트코인 투자로 1000만원을 벌었으면, 그에 대한 소득세는 750만원의 20%인 150만원이 되는 것 입니다. 또한, 가상화폐 과세는 이듬해 거래액을 기준으로 부과되므로 실제 투자자들이 세금을 납부할 시점은 2024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부터라고 알면 되겠습니다. :)

 

반응형

댓글